경고: 이 문서의 오래된 판을 편집하고 있습니다. 이것을 저장하면, 이 판 이후로 바뀐 모든 편집이 사라집니다. 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사용자 이름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 스팸 방지 검사입니다. 이것을 입력하지 마세요![[파일:Card-3663597 960 720.jpg|섬네일]] 로딩(Loading)은 [[게임]] 등 컴퓨터 프로그램의 파일이나 리소스를 [[하드디스크]] 나 [[SSD]] 같은 보조 기억 장치에서 [[메모리]] 같은 주 기억 장치로 옮겨두는 과정을 말한다. 일반적으로 컴퓨터 프로그램이 작동을 위해 대기하는 시간을 '로딩'이라고 표현한다. == 왜 로딩이 필요한가 == 단순하게 요약해 설명하자면, [[CPU]]가 게임같은 컴퓨터 프로그램을 작동시키기 위해서는 저장장치(HDD나 SSD)에 저장되어 있는 프로그램 파일을 [[메모리]]에 옮겨두어야 한다. 문제는 메모리라는 부품은 예나 지금이나 가격이 상당히 부담스러운 편이고, 그래서 용량이 제한되어 있다 보니 무작정 많은 데이터를 메모리에 옮겨둘 수는 없다. 그래서 필요한 만큼 불러다 쓰고, 지우고, 다시 다른걸 불러오는 과정이 계속 반복된다. 그렇게 로딩이 진행되는 동안은 프로그램을 사용할 수 없으니 잠시 멈춰야 하고, 그 동안 사용자는 멈춰있는 화면을 바라보며 아무것도 할 수 없게 된다. == 로딩을 빠르게 하려면? == === 메모리의 용량을 늘린다 === 메모리에 많은 자료들을 올려둘 수록 다시 로딩을 해야할 필요성은 사라진다. 즉 로딩을 그만큼 덜 하게 되는 것이다. === 저장 장치의 속도를 높힌다 === 복잡하게 들릴 수도 있는데, 간단하다. [[CD]]를 저장 장치로 쓰고 있는 프로그램은 그걸 [[HDD]]로 옮겨두면 속도가 그만큼 더 빨라지고, HDD를 쓰고 있다면 그걸 [[SSD]]처럼 속도가 더 빠른 장치로 [[컴퓨터]]의 부품을 교체하면 된다.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는 저장 장치의 속도가 빨라질 수록 더 빠르게 메모리에 데이터를 보낼 수 있고, 그렇게 되는 만큼 로딩 속도는 줄어들기 때문이다. == 모바일 네트워크를 사용하거나, 더 빠른 와이파이를 사용한다 == 최근에는 인터넷으로 연결해 필요한 정보를 서버에 저장해뒀다 불러오는 방식의 프로그램들도 많이 늘어나고 있는데, 이럴 때는 사용하고 있는 네트워크의 상태도 중요하다. 예를 들어 공용 [[와이파이]]를 사용한다면 사람이 많이 몰려 인터넷 품질이 떨어진 상태라면 로딩 과정에서 서버와 통신이 완료될 때 까지 계속 기다려야 한다. 반대로 모바일 네트워크 역시 상태가 나빠지면 와이파이에 연결하는 것보다 못한 경우도 생기는데, 일반적으로 한국에서는 집에서 혼자 쓰는 공유기가 아니라면 와이파이보다는 모바일 네트워크(이동통신사)가 더 빠르다. 그래서 모바일 게임을 할 때는 처음 설치나 패치를 할 때만 와피아피로 연결하고, 게임을 할 때는 모바일 네트워크로 사용하는게 좋다. == 로딩에 대응하는 게임 제작자들의 방법 == === 간단하게 '로드 중'이라고 적어두기 === 오래된 게임에서 많이 했던 방식. Loading... 이라는 간단한 글자가 적혀있는 화면을 띄워서 프로그램이 로딩을 위해 기다리고 있다는 것을 게이머들에게 알려준다. === 스크린샷, 월페이퍼를 함께 보여주기 === 아무래도 기다리면 지겨우니 그동안 눈요기(?)라도 하라고 로딩 화면을 좀 더 화려하게 꾸민 것이다. 게임에서는 인게임 스크린샷이나 원화(월페이퍼) 같은 것을 보여주는 경우가 많다. 최근에는 아에 동영상(컷씬)을 틀어버리는 경우도 있다. 동영상을 보는 동안 필요한 로딩을 마무리하는 방식이다. === 게임에 관련된 토막글이나 정보 알려주기 === 보통 스크린샷이나 월페이퍼를 보여주고, 어딘가 남는 공간에 이런 저런 글을 써넣는 방식이다. 보통은 <del>조금만 지나면 쓸데없는</del>게임 관련 팁이나 공략같은 것을 남겨두는 경우가 많지만, 게임 개발자의 취향(...)에 따라서 [[드립]]을 적거나 별 쓸모 없는 소리들을 적어놓는 경우도 있다. 예를 들면 '지도에 나무를 심는 중' 이라거나 '로딩을 빠르게 해주는 영약을 만드는 중' 같은 식으로. === 그냥 로딩을 없애자! === 보다 자세한 내용은 [[심리스 월드]] 문서 내용을 참고. 사실 로딩이 없는 프로그램은 존재하지 않는다. 심리스는 로딩을 위해 사용자가 기다려야 하는 불편함(기다리는 지루함)이 최대한 느껴지지 않도록 이런 저런 꼼수를 쓰는 것에 가깝다. 요약: Nginwiki에서의 모든 기여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 라이선스로 배포된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 (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Nginwiki:저작권 문서를 읽어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