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사용자 이름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 스팸 방지 검사입니다. 이것을 입력하지 마세요!== 최초의 컴퓨터 == 지금까지 인류가 개발해낸 각종 기계나 장치들이 으레 그렇듯, 컴퓨터 역시 전쟁을 위한 도구로 시작됐다. 전쟁 중에 대포를 정확하게 쏘기 위해서는 거리나 각도는 물론이고 바람, 기온 등 여러가지 변수를 계산해야 했는데, 아무리 산수가 빠른 사람이라도 이렇게 많은 변수들을 다 계산하기엔 시간이 너무 많이 걸렸다. 특히 복잡하게 암호화되어 있는 적국의 군사통신 암호를 해독하는 데에 컴퓨터가 가진 빠른 연산 성능이 유용하게 쓰였다. 일반적으로 최초의 컴퓨터는 미국에서 개발한 에니악(ENIAC)으로 알려져 있지만, 실제로는 독일의 공학자인 콘라드 주체가 1941년에 만든 Z3을 최초의 전자식 컴퓨터로 본다. 그리고 영국에서도 독일군이 사용하던 암호를 해독하기 위해 비밀리애 콜로서스 1호를 만들었는데, 독일의 Z3은 2차 세계대전 과정에서 폭격(..)으로 파괴되어 한 동안 존재 자체가 알려지지 않았었고, 영국의 콜로서스 1호 역시 1975년에야 군사비밀이 해제되면서 존재가 세상에 알려졌다. 그렇다고 해도 에니악의 가치가 떨어지지는 않는 것이, 전쟁용으로 개발되었고 사용된 Z3이나 콜로서스와는 달리 에니악도 군용으로 개발을 시작하기는 했으나 완성된 시점(1946년 2월 14일. [[발렌타인 데이]]때 완성됐다.)엔 이미 전쟁이 끝났던 관계로 일기예보나 난수 연구 등 좀 더 다양한 범위에서 활용되면서 대중적으로 널리 알려졌고, 많은 사람들이 최초의 컴퓨터로 기억하고 있다. 여담으로 에니악은 무려 18800개나 되는 진공관을 사용해 에니악을 사용하면 근처에 있는 가로등이 꺼진다는 말이 있을 정도로 전기 먹는 하마였고, 예나 지금이나 전기를 많이 먹는 컴퓨터는 발열도 엄청나게 심하기 때문에 뜨거워진 에니악을 식혀주기 위해 전용 냉각기도 사용했을 정도였다. 무게는 30톤에 방 하나를 가득 채울 만큼 크기도 무게도 엄청났고 제작비는 당시 가치로 50만 달러였다. 1953년 한국의 1인당 GNP가 67달러였으니 당시 한국인 7,462명 분의 소득과 비슷한 수준이다. 요약: Nginwiki에서의 모든 기여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 라이선스로 배포된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 (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Nginwiki:저작권 문서를 읽어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