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사용자 이름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 스팸 방지 검사입니다. 이것을 입력하지 마세요!== '가전 제국' 소니, 나쁜 변화를 선택하다 == 1995년 소니는 회사의 새로운 대표로 이데이 노부유키를 선임한다. '공대' 분위기가 강했던 회사에서 와세다 대학의 경제학과를 졸업한 '문과생'이었던 이데이는 소니에 평사원으로 입사한 뒤 일본 굴지의 기업이었던 소니의 사장 자리에까지 오르며 샐러리맨의 신화라는 소리까지 들었따. 이데이는 버블경제 붕괴의 후폭풍으로 흔들리고 있던 소니의 도약을 위해 '''디지털 드림 키즈'''라는 새로운 전략을 내세운다. 가전산업 중심이었던 소니가 인터넷이나 콘텐츠에 투자하고, 이 콘텐츠와 소니의 기기를 연결시킨 융합(유비쿼터스)하겠다는 거대한 구상이었다. 유럽의 휴대전화 제조사였던 스웨덴 [[에릭슨]]과 협력해 휴대전화 제조에도 나선다. 이런 이데이의 전략은 초반에는 성공적인 것으로 보였다. 굴뚝산업의 회사였던 소니가 미래지향적인 인터넷, 컨텐츠, 로봇, 인공지능 같은 것에 투자하며 역대 최고 수준의 영업이익까지 달성하자 언론들은 소니를 혁신 기업으로 치켜세웠다. 그러나 곧 위기가 닥쳤다. 잠깐의 성공에 심취한 소니는 문어발식으로 사업을 계속 확장해 나갔는데 그 과정에서 사업부가 제대로 조율하지 못하면서 밖에서는 '융합'을 외치면서 정작 회사 내부에서는 사업부끼리 서로 알력 다툼을 하는 상황까지 벌어진다. 특히 사업부별로 매출과 손익을 따로 계산하는 독립채산제를 실시한게 컸는데, 내부에서 경쟁이 심해지자 미래의 먹거리가 될 기술에 투자하는 대신에 당장 매출이 날 수 있는 사업에만 몰두하기 시작했다. '기술 개발'로 성장했던 소니의 정체성은 그렇게 무너져갔다. 대표적인 것이 [[TV]] 시장에서의 몰락이었다. 예나 지금이나 TV는 생활 가전의 꽃이자 핵심이었고, 앞서 소개한 것처럼 소니는 트리니트론 컬러 TV를 출시한 뒤 브라운관 TV 시장을 장악했다. 그러나 2000년 이후 TV 시장은 빠르게 LCD나 PDP와 같은 차세대 디스플레이 시장으로 전환되고 있었고, 이를 적극적으로 활용한 [[삼성전자]]와 [[LG전자]]가 소니의 자리를 뺏아먹는 동안 소니는 계속 브라운관에 미련을 버리지 못했다. 요약: Nginwiki에서의 모든 기여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 라이선스로 배포된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 (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Nginwiki:저작권 문서를 읽어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