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사용자 이름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 스팸 방지 검사입니다. 이것을 입력하지 마세요!== 플레이스테이션 4 == '''다시 시작하는 플레이스테이션의 두 번째 전성기''' PS3이 실패작은 아니었지만, PS3의 부진은 안그래도 어려웠던 회사를 '부도라는 거대한 폭포 앞에 다가섰다'는 평가를 받을 만큼 어려움에 빠트렸으니 후속작인 PS4는 반드시 성공해야만 했다. 우선 비싼 출시 가격으로 강한 비판을 받았던 전작과는 달리 PS4는 초기 출시 가격을 일본 기준 3만 9,800엔으로 낮춰 시작했다. 5만 엔에 가까웠던 PS3의 <del>창렬</del>무지막지한 가격에 비교하면 꽤 가격을 낮춰서 시작한 것이다. 그리고 다른 멀티미디어 지원 기능까지 미뤘을 만큼 핵심이 되는 게임 기능에만 집중하고, 성능을 끌어올리기 위해 노력했다. 2013년 11월 첫 출시된 플레이스테이션4는 여러모로 파격적이었다. 우선 기기의 최초 출시를 본진인 일본이 아닌, 세계 최대의 게임 시장인 미국에서 가장 먼저 시작했다. 심지어 한국도 2013년 12월에 출시해 일본 정식 출시일인 2014년 2월보다 빠르게 출시했고, 초기 물량 배정 역시 미국에 우선적으로 할당했다. 그리고 전작에서는 무료였던 멀티 플레이가 유료로 전환됐다. 이제 PSN의 플러스 구독 서비스(PS Plus라는 이름의 [[월정액]] 유료 서비스를 이용해야만 멀티 플레이가 가능하다. 다만 PS Plus 가입자들에게 매월 유료 타이틀을 무료로 제공하는 등 유인책도 함께 마련해서 생각보다 게이머들의 유료화에 대한 저항은 작았고, 소니 입장에서도 안정적으로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할 기반을 마련했다. 2018년을 기준으로 PS4는 9천만 대가 넘게 팔리며 시리즈 최고의 전성기였던 PS2를 능가하는 판매량을 기록하고 있다. 준수한 성능, 합리적인 가격, 무엇보다 폭넓은 게임 라인업 덕분에 사실상 가정용 게임기 시장을 통채로 잡아먹으며 2019년 현재도 판매 호조가 이어지고 있다. 요약: Nginwiki에서의 모든 기여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 라이선스로 배포된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 (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Nginwiki:저작권 문서를 읽어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