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사용자 이름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 스팸 방지 검사입니다. 이것을 입력하지 마세요!== 로딩에 대응하는 게임 제작자들의 방법 == === 간단하게 '로드 중'이라고 적어두기 === 오래된 게임에서 많이 했던 방식. Loading... 이라는 간단한 글자가 적혀있는 화면을 띄워서 프로그램이 로딩을 위해 기다리고 있다는 것을 게이머들에게 알려준다. === 스크린샷, 월페이퍼를 함께 보여주기 === 아무래도 기다리면 지겨우니 그동안 눈요기(?)라도 하라고 로딩 화면을 좀 더 화려하게 꾸민 것이다. 게임에서는 인게임 스크린샷이나 원화(월페이퍼) 같은 것을 보여주는 경우가 많다. 최근에는 아에 동영상(컷씬)을 틀어버리는 경우도 있다. 동영상을 보는 동안 필요한 로딩을 마무리하는 방식이다. === 게임에 관련된 토막글이나 정보 알려주기 === 보통 스크린샷이나 월페이퍼를 보여주고, 어딘가 남는 공간에 이런 저런 글을 써넣는 방식이다. 보통은 <del>조금만 지나면 쓸데없는</del>게임 관련 팁이나 공략같은 것을 남겨두는 경우가 많지만, 게임 개발자의 취향(...)에 따라서 [[드립]]을 적거나 별 쓸모 없는 소리들을 적어놓는 경우도 있다. 예를 들면 '지도에 나무를 심는 중' 이라거나 '로딩을 빠르게 해주는 영약을 만드는 중' 같은 식으로. === 그냥 로딩을 없애자! === 보다 자세한 내용은 [[심리스]] 문서 내용을 참고. 사실 로딩이 없는 프로그램은 존재하지 않는다. 심리스는 로딩을 위해 사용자가 기다려야 하는 불편함(기다리는 지루함)이 최대한 느껴지지 않도록 이런 저런 꼼수를 쓰는 것에 가깝다. 요약: Nginwiki에서의 모든 기여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 라이선스로 배포된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 (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Nginwiki:저작권 문서를 읽어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