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사용자 이름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 스팸 방지 검사입니다. 이것을 입력하지 마세요!== 승자의 오만, 추락의 시작 == 슈퍼 패미컴에 사용되는 저장 매체는 흔히 '게임팩'이라고 부르는 마스크 ROM이었는데, 이 매체는 만드는데 생산 원가도 꽤 비쌌고 무엇보다 생산에 작게는 며칠에서 많게는 한 달 가까이 시간이 걸렸다. 게다가 닌텐도는 이 마크스ROM이 제작하기 힘들다는 이유로 게임 개발사에게 선금과 함께 판매 물량 '보증'을 요구했다. 개발사 입장에서는 타이틀이 잘 팔리면 다행이지만 실패하면 엄청나게 많은 적자를 감수할 수 밖에 없는 상황에 몰렸던 것이다. 게다가 일본 내 판매상들도 닌텐도가 장악하면서 게임 회사들은 닌텐도의 '갑질'을 바라볼 수 밖에 없었다. 여기에 [[소니]]와의 파트너쉽이 깨지면서 큰 변수가 발생한다. 당시 소니와 닌텐도는 슈퍼 패미컴을 본체로 활용하고 CD 플레이어 기능을 추가한 제품을 만드려고 했었는데, 거의 완성 직전까지 갔던 두 회사의 프로젝트가 사실상 닌텐도측의 일방적인 이혼 통보로 깨져버리게 된다. 문제는 닌텐도도 업계의 거물이었지만 그 당시 소니는 지금의 삼성전자+애플에 버금가는 세계구급 기업이었다는 데에 있고, 자존심이 박박 긁힌 소니는 [[플레이스테이션 시리즈]]를 만들면서 강력한 대항마로 거듭난다. 초창기 [[플레이스테이션]]은 닌텐도가 독주하던 게임시장을 제대로 뚫을 수 없을 것이라는게 대체의 예상이었으나 닌텐도의 갑질에 가까운 판매 관행에 지쳐버린 서드파티가 잇다라 PS 진영에 합류하고, 여기에 마스크ROM 대신에 생산 원가가 저렴했던 CD를 사용해 게임 소프트웨어의 가격을 게임팩의 반 값 수준으로 낮춰버리고, 소니 역시 적자를 감수하면서 기기의 가격을 파격적으로 내려가며 경쟁한 결과 후발 주자였던 소니의 플레이스테이션이 닌텐도가 출시한 닌텐도 64를 누르고 게임 시장 1위를 차지한다. 1997년 이후 글로벌 비디오 게임 시장의 주도권은 닌텐도가 아니라 소니에 있음이 분명해졌다. 다만 닌텐도 64가 일반적으로 알려진 만큼 흥행에서 실패한 것은 아니다. 시대에 뒤쳐진다는 평가를 받았던 게임팩을 사용했음에도 슈퍼 마리오와 같은 닌텐도의 강력한 자체제작 게임들, 그리고 여전히 닌텐도를 지지했던 서드 파티들이 개발한 타이틀이 대호평을 받으며 글로벌 3천만 대 이상을 판매했으며, 여전히 회사의 실적도 크게 나쁘지 않았다. 다만 슈퍼 패미컴 시절에서는 압도적 1위를 달리던 게임회사가 이제는 플레이스테이션에 밀리고, 심지어 내려다봤던 세가의 새턴에도 밀리면서 2 ~ 3위권까지 추락한 것이 뼈아픈 결과였다. 요약: Nginwiki에서의 모든 기여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 라이선스로 배포된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 (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Nginwiki:저작권 문서를 읽어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