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사용자 이름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 스팸 방지 검사입니다. 이것을 입력하지 마세요!== 게임팩 대신 CD, 가격을 낮춘 게임을 판매하다 == 1990년대 초반 당시에 게임을 저장하던 가장 대표적인 매체가 바로 [[게임팩]]이라고 흔히 불리는 마스크 롬(Mask ROM)이었다. 문제는 이 게임팩을 제조하는 원가가 상당히 비쌌다는 데에 있었다. 제조원가만 비쌌던 것이 아니라 팩을 만드는데에 제작하는 시간도 많이 걸리다 보니 유통사인 닌텐도에서는 게임을 출시하기 위해서, 그러니까 게임팩을 만들기 위해서는 상당히 많은 선금과 '물량'을 요구했고 이게 개발사에는 상당히 큰 부담으로 작용했다. 혹시나 출시해서 게임이 안팔리면 그대로 그 값 비싼 팩들이 죄다 악성 재고가 되어버리니까. 반대로 게임이 날개돋힌 듯 인기좋게 팔리더라도, 이 게임팩은 생산을 갑자기 늘린다고 늘어날 수 있는 물건이 아니었다 보니 이런 쪽에서도 게임회사와 게이머 모두 불만이 있었다. 반면에 소니의 PS는 CD-ROM, 즉 CD를 저장 매체로 사용한다. CD는 대량 생산이 용이했고, 무엇보다 제조단가 자체도 저렴하고 만드는 시간도 아주 짧았다. 길어도 1주일이면 공장에서 게임 CD를 생산해 소매점까지 보낼 수 있었으니 많게는 1개월 가까이 걸렸던 게임팩과는 비교조차 되지 않았다. 개발사 입장에서도 팩을 만들기 위해 선금이나 선주문 물량을 위험하게 만들 이유가 없어서 좋았고, 저장매체 자체가 저렴했으니 그 금액 만큼 저렴하게 게임 소프트웨어를 판매할 수 있었다. 슈퍼 패미컴용 게임팩의 가격이 1만 엔을 웃도는 타이틀까지 나오는 동안 PS용 게임CD의 가격은 5,800엔 대 정도까지 낮아졌으니 게임 개발자와 소비자 모두 이런 새로운 게임 유통 혁신에 호평을 아끼지 않았다. 요약: Nginwiki에서의 모든 기여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 라이선스로 배포된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 (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Nginwiki:저작권 문서를 읽어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