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사용자 이름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 스팸 방지 검사입니다. 이것을 입력하지 마세요!== 다시 찾아온 위기 == 한 때 세계 3위의 경제대국인 일본에서도 온갖 금융회사와 공기업을 재치고 도요타의 뒤를 이어 시가총액 2위에 올라갈 만큼 대단한 기세를 자랑하던 닌텐도는 2010년 이후 빠르게 추락했다. 우선 2000년대 후반 이후에 엔화의 가치가 빠르게 상승하면서 해외에서 매출을 많이 올리던 닌텐도가 환율로 인해 이익이 줄어든 영향이 컸다. 당시 경쟁사였던 소니를 비롯한 일본의 가전 기업들도 비슷한 상황에 빠졌다. 무엇보다 닌텐도의 주력 상품이었던 NDS(휴대용 게임기)와 Wii(가정용 게임기)의 매출이 모두 줄어든 탓이 컸다. 게임에 관심이 없던 소비자들까지 끌어들여 새로운 시장을 열어보려는 계획은 좋았고 엄청난 성공을 가져다주긴 했지만, 이 쪽은 성장의 한계가 있었다. 반면에 전통적인 골수 게이머들이 좋아하는 고화질 그래픽을 탑재한 타이틀들은 꾸준히 소니의 PS3이나 PSP로 출시되고 있었고 특히 가정용 게임기 시장에선 PS3이 초반의 실패를 딛고 서서히 반등에 나서는 동안 Wii나 후속작인 Wii U는 좀처럼 판매량이 늘어나지 않았다. 특히 스마트폰과 태블릿PC로 시장이 빠르게 옮겨간 것도 영향을 끼쳤다. 아이폰 출시 이후 세계 핸드폰 시장은 풀터치 스크린과 모바일 운영체제를 갖춘 스마트폰 시장으로 빠르게 옮겨갔는데, 휴대용 게임기 시장에서 강점을 보이던 닌텐도가 그 영향의 직격탄을 맞아버린 것이다. 당시 스마트폰 게임들은 닌텐도의 그것만큼 게임 라인업이 출중한 것은 아니었지만 무엇보다 '게임기를 살 필요'도 없었고 가격도 저렴했던 스마트폰 시장으로 게이머들이 대거 이동한 것은 당연한 수순이었다. 이제 닌텐도의 경쟁자는 소니가 아니라 애플과 구글이라는 이야기가 공공연하게 나돌았다. 결국 2012년 닌텐도는 상장 이후 50년이 넘도록 단 한번도 겪어보지 못했던 영업 적자라는 위기에 봉착한다. 물론 워낙에 쌓아둔 돈이 많았던지라 [http://www.zdnet.co.kr/view/?no=20140319094901&from=Mobile 38년 간 적자를 봐도 망하지 않는다]는 보도도 있었지만 2013년, 2014년에 연이어 적자를 기록하며 [http://www.zdnet.co.kr/view/?no=20140508160401&re=R_20150713094611 3년 연속 적자]라는 불명예의 기록도 남겼다. 요약: Nginwiki에서의 모든 기여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 라이선스로 배포된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 (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Nginwiki:저작권 문서를 읽어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